본문 바로가기
info

비주얼 스튜디오 2022 업데이트와 새로운 기능들과 핫리로드

by 개코 - 개발과 코딩 2022. 7. 13.

비주얼 스튜디오 2022 가 발표되었다. 시간이 좀 지났지만 공지내용이 최근에 바뀌었다. 닷넷6의 업데이트와 핫리로드 기능으로 개발편의성을 높였다. 핫리로드 기능은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고도 소스 코드를 변경하고 수정된 내용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기에 꽤나 흥미롭다.

비주얼 스튜디오 2022
업데이트와 새로운 기능들과 핫리로드

눈 떠보니 비주얼 스튜디오가 전체적으로 업데이트가 되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비주얼 스튜디오 2019 버전은 이제 더이상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공지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스튜디오 웹사이트의 내용 또한 개편된지 오래이며, 모든 버전의 비주얼 스튜디오는 업데이트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만, 기존의 프로젝트들이 이번에 업데이트된 2022 버전에서 호환이 잘되는지 여부가 관건이기도 하다.

단점이 보이긴 해도 흥미로운 것이 하나가 있다.

핫리로드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비주얼스튜디오에 들이는 공은 꾸준한데 원코드 멀티플랫폼의 실험이 그렇고, 핫리로드의 성능이 그렇다.

2019의 UWP

비주얼스튜디오가 2019로 올라오면서 UWP에 대한 신선함을 주긴 했었다.

애플리케이션 시장이라하면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가 눈에 가장 먼저 뛸 테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는 국내에선 많이 생소하기도 하다.

UWP에 관심을 가지고 생긴 개발자라면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원코드 멀티플랫폼을 눈여겨 보게 될 것이기도 하다.

물론, MS 계열의 플랫폼에 가깝긴 하겠지만 말이다.

2019의 변화가 그러했듯 2022의 변화에서 눈여겨 볼 것이 닷넷6와 핫리로드이다.

2022 닷넷6와 핫리로드

2022에 눈여겨 볼 내용은 닷넷6와 핫리로드이다.

닷넷이 버전업되면서 개발 편의성이 좋아졌다는 것이 마이크로소프트의 발표지만 정작 개발자 입장에서의 닷넷6에 대한 얘기는 많이 없다.

외국의 개발자들 말만 들어도 좋아졌다 라는 것이 전부이지 구체적으로 어떻게 좋아졌다는 점은 나와있지 않다.

다만 닷넷 특성상 메모리를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가비지컬렉터의 성능이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받아 왔기 때문에 이 부분들이 개선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것을 뒷받침하는 것이 핫리로드이기도 하다.

아직 우리나라 개발자가 공식적으로 실험한 영상은 없지만, 외국의 경우는 많이 볼 수 있다.

비주얼스튜디오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 실행 중인 앱을 닫고 다시 실행하고 테스트를 해봐야 하지만 핫리로드는 이런 불편함을 해소한다.

즉, 비주얼스튜디오로 테스트 중인 앱이 있다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소스 코드를 변경해도 변화된 앱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파이썬을 개발한 사람들이라면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 것이다.

이것은 테스트 중인 앱을 재실행하지 않고도 소스 코드를 변경하면서 즉각적으로 눈으로 확인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개발편의성

아직은 본격적으로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비주얼스튜디오 2022의 테스트 영상들을 보면 흥미로운 것은 사실이다.

자잘하게 불편했던 점들이 확실히 개선이 되었고, 트렌드에 맞게 성능이 좋아지고 있기도 하다.

현재 떠오르고 관심받는 프로그램 언어들에 대한 지원과 확장성도 확대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개발 IDE 점유율을 높이겠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기도 하다.

확실히 개발 IDE 만큼은 비주얼스튜디오 만한 것이 없기도 하다.

자바 계열의 이클립스가 여러 버전으로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시간이 많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비주얼스튜디오는 막강하기만 하다.

찾아보기

비주얼 스튜디오에 대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2022로 버전이 올라가면서 모든 비주얼스튜디오의 버전도 업데이트 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설치를 해보고 느껴보는 것이 가장 빠를 수 있다.

무료버전인 커뮤니티 버전을 사용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 비주얼 스튜디오 공식홈페이지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ko/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