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

애드센스 광고 표시 확인과 URL 검사와 등록

by 개코 - 개발과 코딩 2022. 9. 21.

애드센스 게재 제한 문제가 생긴다면 미리보기를 통해 광고 표시를 확인해 볼 수 있고 광고 미리보기가 정상이라면 URL을 다시 등록할 수 있다. 광고 미리보기는 애드센스에서 할 수 있고 URL 등록은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변화 중 하나는 http 와 https 에 대한 구글의 신뢰도이다. 만약 애드센스에서 표시는 되지만 서치 콘솔에서 URL 검사에서 등록이 안된다면 URL이 http 인지 https 인지 확인해 보도록 한다.

애드센스 광고 표시 확인과 URL 검사와 등록

애드센스로 수익을 내는 분들 중에서 적극적으로 웹페이지와 URL 등로을 하시는 분들이 있다.

본인이야 가끔 하지만 특정한 문제가 발생하면 한번쯤은 확인을 한다.

애드센스 문제가 발생하면 광고 게재 제한이란 조치가 내려지기 때문에 가끔은 확인이 필요하다.

귀찮은 작업이기도 하지만 가끔씩 주기적으로 해주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간혹, 과거에 등록된 URL의 최근에는 구글의 검색결과에서 내려오는 경우들도 생기니까 말이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등록은 되지만 약간이라도 시간을 줄이고자 한다면 URL 등록을 해 주는 것이 좋다.

광고 게재 제한

애드센스를 하면서 광고 게재 제한이란 내용을 보면 괜히 섬찟해 진다.

테스트 해보면 광고가 표시가 되긴 하지만 다른 사람이 보는 경우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혹자는 신경쓰지 말고 기다리면 없어진다고 한다.

물론, 그렇다. 구글은 에러난 페이지를 다시 확인한 후 검색등록을 하게 되지만 여의치 않은 경우 URL을 미등록 상태로 바꿔버리기도 한다.

알다가도 모르겠지만 어쨋든 적극적인 대처는 필요해 보인다.

확인하고 대처하기

어떠한 이유에서 광고 게재 제한이 나타났다면 먼저 광고가 나올 수 있는 페이지인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광고가 나오는 페이지라면 URL 검사를 통해 다시 등록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구글 애드센스 > 광고 > 사이트 선택 > URL 검사
  2. 구글 서치콘솔 > 사이트 선택 > URL 검사 > 등록

애드센스에서 광고 표시 확인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광고가 나오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여기서도 나오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겠지만 호스팅 서버와 구글 크롤러가 동작하고 있다면 웹페이지 내용과 광고가 표시되는 위치를 미리보기 형식으로 볼 수 있다.

  1.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 방문하기
  2. 좌측의 광고 탭 선택하기
  3. 사이트 선택하기
  4. URL 검사하기

작업 항목을 클릭했다면 이미지와 같이 광고 게재 제한이 된 URL 들을 볼 수 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메뉴가 하나 나타난다.

링크 주소 복사 를 선택하여 URL 을 복사한다.

좌측의 탭에서 광고 를 선택한다.

우측 화면에 자신의 사용중인 여럿 사이트가 나타날 것이다.

복사한 URL에 해당되는 웹사이트를 선택한다.

광고 설정 미리보기 화면이 보인다.

입력항목에 복사한 URL 을 입력하고 미리보기를 클릭한다.

잠시 후 웹페이지와 광고가 게시되는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이제 구글 서치콘솔에서 URL이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재등록을 해 볼 차례이다.

구글 서치콘솔에 URL 등록하기

애드센스에서 URL을 확인했고 광고가 잘 나온다면 구글 서치콘솔에 URL이 등록되었는지 확인할 차례이다.

URL이 등록이 되었더라도 재등록을 해도 된다.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면 다시 등록하도록 하자.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면 좌측에 이미지와 같은 메뉴가 보인다.

URL에 해당하는 웹사이트를 선택하고 우측의 입력란에 복사한 URL 를 붙여넣기 한다.

좌측 메뉴의 URL 검사를 한다.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타난다면 URL 을 다시 확인해 보도록 하자.

혹시 모르니 http 인지 https 인지도 같이 확인하자.

지나가다 본 내용이 있다. 최근 구글은 http 보다는 https 를 우선시한다는 내용이다.

만약 http 라면 https 로 수정 후 다시 URL 검사를 해보도록 한다.

실제 URL 테스트를 다시 해보고 색인 생성 요청을 해 보도록 한다.

정상적으로 색인 요청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