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Python

파이썬 산술연산자 7가지 사용 방법

by 개코 - 개발과 코딩 2021. 7. 31.

프로그래밍언어는 최초 계산기에서 시작하고 파이썬이란 고급언어까지 발전했다. 사칙연산 등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서 기본이고 파이썬에서도 가능하다. 산술연산자는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가 있지만 그 외에도 나머지 거듭제곱 등의 다른 계산도 할 수 있다.

파이썬 산술연산자 7가지

 

산술연산자

계산기와 같이 수치를 계산하기 위한 키워드들이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거듭제곱 버림나눗셈이 있다.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코드로 직접 보는 것이 더 편하다.

  • 두 수 A와 B가 있을 때 산술연산자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 더하기 : A + B : A와 B를 더한 값
  • 빼기 : A - B : A에서 B를 뺀 값
  • 곱하기 : A * B : A와 B를 곱한 값
  • 나누기 : A / B : A에서 B를 나눈 값
  • 나머지 : A % B : A에서 B를 나눈 값과 나머지 수 중 나머지 값
  • 거듭제곱 : A ** B : A를 B만큼 곱한 값. 2 ** 3 이라면 2 * 2 * 2 와 같다.
  • 버림나눗셈 : A // B : A에서 B를 나눈 값의 소숫점을 버린 값

 

정수형 변수와 산술연산자

어렵지 않다.

위의 공식대로 변수를 2개 만들어 산술연산자에 대입하고 결과를 보도록 하자.

데이터 타입을 알기 위해 type() 함수도 같이 사용했다.

변수는 계산할 값, 계산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결과값 변수를 두었다.

vNum_1 = 15
vNum_2 = 5
vResult = 0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2개의 정수형 변수로 산술연산자를 사용해 보았다.

결과를 보도록 하자.

2개의 정수형 변수를 이용해 산술연산자를 사용하면 정수형 결과를 출력한다.

나누기 연산자는 실수형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확인하자.

나누기 연산자는 소숫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타입이 실수이다.

 

실수형 변수와 산술연산자

2개의 실수형 변수를 만들고 산술연산자를 사용해 보도록 하자.

데이터 타입은 당연히 실수형일 것이다.

vNum_1 = 13.5
vNum_2 = 2.5
vResult = 0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vResult = vNum_1 // vNum_2
print(' // vResult - ', vResult, type(vResult))

눈으로 보면 정수형이지만 내부적인 데이터 타입은 실수형이다.

결과도 마찬가지이다.

소숫점을 버린다고 하더라도 실수형으로 데이터타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실수형 데이터타입을 가지는 것에 주목하자.

물론, 이 부분은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산술연산자의 의미와 사용법을 익히면 그만인 것이다.

다만 은행이나 회계 등의 연산시 데이터타입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