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rogramming760

파이썬 멤버 연산자 찾는 내용이 있는 검사 Membership Operator 파이썬 멤버 연산자는 리스트나 문자열 같은 것에 내가 찾고자 하는 특정 값이 있는지 판단한다. 결과값은 참, 거짓으로 어떤 객체가 있는지를 찾게 된다. in 또는 not in 연산자를 사용하며 찾고자 하는 문자열은 뒤에 작성한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있다면 참, 없다면 거짓이며, 결과를 반대로 나타내고자 한다면 not 을 붙여 사용한다. 멤버연산자 membership Operator 문자열객체 또는 어떤 객체 리스트에서 특정 값 또는 객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멤버연산자는 in 또는 not in을 사용하며 값인 있다면 참을 반환하고, 없다면 거짓을 반환한다. 물론, 다른 언어들에는 비슷한 기능은 있다. 찾을 객체 in 검사할 객체 객체가 있다면 참, 없다면 거짓 찾을 객체 not in 검사할 객체 .. 2021. 8. 6.
머신러닝 백분위수 구하기 백분율도 알아야 이해가 되더라. 어쩌다 백분위까지 공부하다보니 머신러닝이 통계에 가장 가깝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백분위는 나열된 전체 표본 수에서 비율로써 나온 수가 어떤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개념적으로 난해하다. 이쯤되니 통계와 확률을 잘해야 머신러닝의 수학적개념을 익히는 것에 빠를 것이란 생각이다. 백분위수 백분율 백분위의 뜻은 전체 나열된 값들 중 백분율에 해당하는 수가 어떤 것인지 찾는 것이다. 개념만 알도록 하자. 백분율은 전체 나열된 수나 표본을 100이라고 했을 때 비율에 100을 곱한 %의 값이다. 뭔 소린지 알다가도 모르겠다. ㅋ 우선 백분율부터 알고 넘어가는 것이 편하다. 백분율은 %이다. 100 중에 20은 몇 %인가? 라고 했을 때 20%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백분율이다. 백분위수는 전체 표본 100.. 2021. 8. 6.
블록코딩 엔트리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돌기 쉬움 1단계 이상한 숲 속의 엔트리봇 블록코딩은 블록으로 만들어진 블록을 조립하여 앱을 구현하는 것이다. 엔트리봇을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돌기 블록을 익혀본다. 엔트리봇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왼쪽으로돌기 오른쪽으로돌기 블록을 이용하고 앞으로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앞으로가기 블록을 이용한다. 제시된 블록 위의 이미지를 보자. 파란색옷을 입은 봇이 엔트리봇이다. 엔트리봇을 분홍색 화살표로 이동시키려면 전진과 좌우 회전하는 블록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제시된 블록 위의 제시된 엔트리봇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시된 블록은 3가지이다. 아래의 제시된 3가지를 이용하여 엔트리봇을 움직여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앞으로 가기 엔트리봇이 앞으로 전진한다. 왼쪽으로 돌기 엔트리봇이 왼쪽으로 회전한다. 오른쪽으로 돌기 엔트리봇이 오른쪽으로 회.. 2021. 8. 5.
게시판 페이징 범위 조건처리 자바스크립트 구현 페이징은 어렵지만 그렇게 어려운 부분도 아니다. 다만 사칙연산으로 페이징을 구현하고 태그를 만들어 붙이는 것이 귀찮을 뿐이다. 그렇지만 하나 만들어 놓으면 두고두고 써먹을 쓰 있다. 이번에 그것의 마지막이다. 스크립트로도 얼마든지 구현이 가능하고 서버에서 처리하여 메모리 낭비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자바스크립트 페이징 구현 이전까지는 대충 구현하는 것까지 해 봤다. 이번에는 이전 버튼과 다음 버튼에 대한 조건처리를 위해 코드를 많이 수정하였다. 처음, 이전, 다음, 마지막 버튼을 클릭하면 페이징번호 또한 재구성을 해 주어야 하며, 이전 버튼을 클릭했을 때 -인 음수값이 나오지 않도록 조건을 주고 다음 버튼을 클릭했을 때 전체페이지 번호를 넘어가지 않도록 보강한 것이다. 이런 처리를 하기 위해 .. 2021. 8.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