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ming760 머신러닝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 구하기 mean median mode 머신러닝에는 3가지의 수학적 관심사가 있다.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이다. 이것은 평균값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통계학과 관련이 있다. 머신러닝이 데이터 기반의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납득이 된다. 수많은 데이터에서 공통되는 지표를 찾기란 어렵다. 이것을 구분짓는 것이 수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이 평균이기도 하다. 머신러닝의 수학적 3가지 지표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특정값을 찾기란 어렵다. 그렇기에 수학적으로 접근하는 시도가 있었다. 컴퓨터도 수학을 위해 발명된 것이 아닌가. 머신러닝을 위해 접하는 첫번째 수학은 통계이기도 하다. 그 중 대표적인 3가지는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이다. 머리가 아프다. 정리만 하고 넘어가자 평균값 Mean - 표본을 모두 더한 후 표본의 수로 나눈 값 - 나열된 모든 숫자를.. 2021. 8. 3. 파이썬 논리 연산자 그리고 또는 아니다 AND OR NOT 논리연산자는 2개 이상의 비교연산자와 같이 사용하여 2가지 이상의 조건이 맞는지 틀린지를 검사한다. 결과값은 참과 거짓이다. 비교연산자와 같이 사용하여 많은 논리적 판단을 하는데 사용되기에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소숫점이 들어간 부분에서 주의하고 문자열의 경우에도 실수가 많은 부분이기도 하다. 생각해 보면 별 것 아닌 것인데도 말이다.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는 2가지 이상의 비교연산자와 같이 사용되기도 하고 독자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 다르다. 보통 3가지이며 and or not 이다. and : 그리고 A > B and C = B : A가 B보다 크고 C가 B와 같으면 참 or : 또는 A > B or C =B : A가 B보다 크거나 또는 C가 B와 같으면 참 not : 아니다. no.. 2021. 8. 3. 블록코딩 텍스트코딩의 차이 조립과 타이핑 비교 블록코딩이나 텍스트코딩이나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에는 같은 코딩이지만 차이가 있다. 블록코딩은 블록으로 만들어진 요소들을 조립하여 코딩하는 것이고 텍스트코딩은 명령어를 타이핑하여 코딩을 하는 것이다. 개발자들만의 전유물로만 생각된 텍스트코딩은 블록코딩으로 진화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싶은 누구나 코딩을 할 수 있다. 블록코딩 개발자들처럼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싶지만 생각은 굴뚝같을때 블록코딩을 찾아볼 수 있다. 블록코딩은 명령어 요소들 하나하나를 블록의 형태가 되어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마치 아이들이 블록장난감을 조립하듯이 마우스로 요소를 조립하여 코딩을 하는 것이다. 물론,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텍스트코딩과 같은 디테일하고 섬세한동작은 할 수 없지만, 최소한 자신이 생각한 것들에 대한 결과물은.. 2021. 8. 3. 게시판 페이지 구조의 이해 처음 이전 페이지 다음 마지막 mysql 5.x 사용 페이징은 쉬우면서도 어렵다. 처음 이것을 만들 때 찾아볼 곳이 없어서 워드프레스나 그누보드 등의 소스를 파헤쳐본 적도 있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잘 다음어진 자료를 찾는 것은 어렵다. 어쨌뜬 페이징의 구조는 5가지 정도된다. 엑셀로 시뮬레이션을 해 보면서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편하다. 페이징의 구조 페이징을 함에 있어 지금은 다음 버튼 밖에는 없다. 고전적인 옛날 홈페이지를 보면 아래의 5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처음 | 이전 | 표시할 페이지 | 다음 | 마지막 이것들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이해하면 편하다. 물론, 계산에 따른 구성은 자바스크립트에서 해도 되고 서버에서 해도 된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게시물의 전체 수가 된다. 전체 페이지 계산하기 전체 게시물이 35개가 있다고 가정해 본다. 현재페.. 2021. 8. 2. 이전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 19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