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ming760 파이썬 대문자 소문자 변환하기 upper lower 영단어는 문장을 코드화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영어권의 영문자는 소문자와 대문자자로 이루어져 있고, 특정 문구들을 일관되게 보기위해 문자를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단순한 기능이지만 가끔씩 중요할 정도로 사용될 때도 있다. 문자열 대문자로 소문자로 바꾸기 파이썬에서도 문자열을 대문자로 또는 소문자로 바꿀 수 있다. 함수명은 같다. 대문자로 바꾸고 싶다면 upper()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소문자로 바꾸고 싶다면 lower()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도 마찬가지인 것을 알 수 있다. vStr = '파이썬 Pytho. I studying Pyton' vUpper = vStr.upper() vLower = vStr.lower() print( '문자열 - ', vS.. 2021. 7. 29. 파이썬 문자열 자르기하고 추출하기 slicing 슬라이싱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자르거나 특정부분의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이 작업을 슬라이싱이라고 하며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엑셀의 그것과 비슷하기에 사용에 익숙하다. 오히려 익숙함 때문에 헷갈릴 수도 있다. 인덱스를 이용해 문자열을 자르고 추출하는 방법을 슬라이싱 이라고도 한다. ] 파이썬 슬라이싱 파이썬에서 슬라이싱은 문자열을 자르는 것보다도 문자열에서 특정 범위를 지정해 문자열 추출을 하는 것에 가깝다. 문자열을 추출하는 것이나 자르는 것이나 범위를 지정하는 것은 어떤 언어를 사용하든 비슷비슷하다. 단지 함수명이나 메서드명이 다를 수 있다. 파이썬 문자열 자르기와 추출은 문자열[시작범위:끝범위] 형식으로 작성한다. 문자열의 시작은 인덱스 0 부터 시작한다. 시작범위에 값이 없다면 문자열의 .. 2021. 7. 29. 파이썬 문자열 길이와 찾기 파이썬의 문자열도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의 기능이 있다. 문자열의 길이를 찾고 특정 문자열이 있는지 찾을 수 있다. 이 기능은 다른 언어에도 있는 기능이다. 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이 기능만을 가지고도 고급기능으로 발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파이썬 문자열 길이 찾기 파이썬에서 문자열의 길이는 len() 함수를 사용한다. len() 함수를 사용하면 문자열 변수에 할당된 문자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 문자열은 문자 하나하나의 배열이라고 언급했었다. ▶ 파이썬 문자열 배열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 코드를 보자 어렵지 않다 문자열 변수인 vStr에 임의의 문자열 값을 할당하고 , 문자열 길이 함수인 len() 함수를 이용해 vLen 변수에 할당다. vStr = '파이썬을 공부해 두면 여러가.. 2021. 7. 29. 머신러닝이란 기계 스스로 학습하고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 머신러닝을 해석하면 기계학습이라 한다. 기계학습은 기계 스스로 배우는 것을 말한다. 다시말해, 사람이 원하는 결과를 위해 기계가 스스로 데이터를 찾아 학습하고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머신러닝이라 한다. 딥러닝과도 비교되는데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가 있다면 머신러닝이 좀 더 큰 개념이다. 머신러닝 기계학습 과정 머신러닝을 공부하다보면 사람과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문제가 생기면 책이나 영상을 찾아 학습을 하고 결과를 만들어 스스로 검증한다. 머신러닝은 기계학습이라 하고, 기계학습은 스스로 데이터를 찾아 학습하고 결과를 만들어 낸다고 언급했다. 사람이 문제가 생겨 해결하는 과정도 비슷하다. (사람) 문제가 생겼다. (기계) 어떤 결과가 필요하다. (사람) 책, 영상 등을 통해 학습을 한다. (기계) 데이터.. 2021. 7. 28. 이전 1 ··· 170 171 172 173 174 175 176 ··· 19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