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ming760 파이썬 산술연산자 7가지 사용 방법 프로그래밍언어는 최초 계산기에서 시작하고 파이썬이란 고급언어까지 발전했다. 사칙연산 등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서 기본이고 파이썬에서도 가능하다. 산술연산자는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가 있지만 그 외에도 나머지 거듭제곱 등의 다른 계산도 할 수 있다. 산술연산자 계산기와 같이 수치를 계산하기 위한 키워드들이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거듭제곱 버림나눗셈이 있다.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코드로 직접 보는 것이 더 편하다. 두 수 A와 B가 있을 때 산술연산자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더하기 : A + B : A와 B를 더한 값 빼기 : A - B : A에서 B를 뺀 값 곱하기 : A * B : A와 B를 곱한 값 나누기 : A / B : A에서 B를 나눈 값 나머지 : A % B : A에서 B를 나눈 .. 2021. 7. 31. 파이썬 불리언 조건문과 같이 사용하기 파이썬의 불리언은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 이런 판단은 조건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조건문은 if 키워드를 사용한다. 이런 조건문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특정한 어떤 조건을 함께 만들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공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불리언 bool 파이썬에서 데이터 타입 bool 은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 사용용도는 방대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르다. 결과는 True 또는 False 를 반환한다. 단지 이 결과로도 많은 연산을 할 수 있다. ▶ 파이썬 불리언 bool 함수로 참 거짓을 판단하기 조건문 조건문은 if 키워드를 사용하고 특정조건에 대한 연산을 실행한다. if 조건: 참일 때 동작 else: 거짓일 때 동작 이런 단순한 연산만으로도 많은 것을 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2021. 7. 31. 파이썬 불리언 bool 함수로 참 거짓을 판단하기 파이썬에는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bool() 함수를 사용하면 참과 거짓을 판단하기 쉽다. 조건문을 사용하면 굳이 bool() 함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복잡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하게 될 때는 bool()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참 거짓 판단 bool() 단순히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 반환값은 true 또는 false 이다. 파이썬이 어떤 식이나 값을 판단할 때 사용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코드는 비교연산자를 사용해 여러가지 상황을 살펴 본 것이다. vBool = bool( 1 > 5 ) print('bool( 1 > 5 ) - ', vBool, type(vBool) ) vBool = bool( 1 < 5 ) print('bool( 1 < 5.. 2021. 7. 31. 머신러닝의 5단계 과정과 딥러닝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위해 데이터가 많으면 많을 수록 좋긴 하지만 좀 더 효율적인 기계학습을 위한 5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날 것의 데이터를 머신러닝에 잘 적용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과정인데, 이 과정 또한 어떻게 보면 사람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하는 과정과 흡사하기도 하다. 머신러닝 5단계 과정 나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존재하고 하고 싶은 것이 있고 배우고 싶은 것이 있다면 우리는 사람은 그것을 위해 찾아나간다. 자료를 찾으며 불필요한 자료들은 제거하고 필요한 자료들만 추린다. 필요한 자료들을 추리면서 노트나 엑셀 등 문서도구에 라벨링을 하면서 정리를 한다. 그리고 공부를 지속하며 학습해 나간다. 이후 내가 하고자 하는 것들을 위해 학습한 것을 사용한다. 머신러닝도 마찬가지 같다는 생각이 든다.. 2021. 7. 30. 이전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19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