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ming760 다시 만드는 반응형 html5 문서 템플릿 반응형 html5 템플릿을 만드는 것은 나중에 홈페이지를 만들 때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템플릿이 많으면 좋고, 다양하면 더 좋다. 눈에 보이는 다른 홈페이지들의 화려함은 무시하고 처음부터 하나씩 시작해 보도록 한다. 태그를 익히고 반응형의 개념을 찾고 적용하다보면 어느샌가 결과물이 보일 것이다. 다시 만드는 반응형 html 5문서 템플릿 홈페이지를 새로 만들면서 html 를 다시 코딩하게 되었다. 벽돌쌓기 느낌이지만 어쩔 수 없다. 다만 웹표준에 맞춰서 대충 하나 만들어서 꾸준히 업데이트를 해 나가는 수 밖에 벗을 듯 스타일시트까지 건드리고 싶지만 일단 뼈대부터 만들어 두는게 중요하다. 망가진 홈페이지를 처음부터 다시 만든다는 것이 엄청 귀찮은 것이기도 하지만 이번엔 뼈대부터 신경을 좀 써서 제작할 .. 2022. 11. 16. 톰캣 로그 확인하기 카페24 웹호스팅 putty 확인 로그 파일은 중요하지만 하찮다. 홈페이지 운영시 로그 파일이 없다면 원인 분석을 하고 수정을 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카페24의 jsp 자바 웹호스팅 운영시 톰캣 서버를 이용하며 로그 파일은 톰캣 서버가 설치된 하위의 logs 폴더에 있다. 터미널로 접속하고 리눅스의 tail 을 사용하여 로그 내용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다. 톰캣 로그 확인하기 카페24 웹호스팅 putty 확인 내가 만든 홈페이지가 시작은 잘 잘 되었는지 구동은 잘 되고 있는지 서버는 기록을 해 두도록 한다. 사소한 출력문부터 예상하지 못한 예외처리까지 개발단계에서 무심히 지난친 무분들에서 에러는 발생하는데 서버는 이를 기록한다. 자바 스프링의 웹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톰캣 서버도 로그를 기록한다. 로그명이 catalina 로 시작.. 2022. 11. 15. 톰캣 서버 시작과 종료 카페24 웹호스팅 서버를 가동하자 톰캣 서버를 시작하고 종료하는 명령하는 각각 startup.sh 와 shutdown.sh 명령어를 사용한다. 자바나 jsp 를 이용하여 웹호스팅을 사용한다면 가끔은 리눅스로 직접 터미널로 연결하여 톰캣서버의 상태도 확인하고 로그도 확인해 주는 것이 좋다. 카페24 웹호스팅의 경우 리눅스 터미널에 접근하여 톰캣 서버의 상태를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으며, 자신이 사용하는 웹호스팅의 톰캣의 상태와 로그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톰캣 서버 시작과 종료 카페24 웹호스팅 서버를 가동하자 자바 스프링을 공부하고 게시판 정도 만들어 보는 것도 좋다. 게시판을 하나 만들 줄 안다면 왠만한 CRUD 는 만들 수 있다는 것. 그렇게 만들다 보면 내가 직접 무엇인가를 만들고 웹서비스를 하고 싶어질 수 있다. 본인의 경우 카페.. 2022. 11. 14. 찾을 수 없음 404 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 색인 생성 문제 404 오류코드는 홈페이지에서 페이지를 찾을 수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오류이다. 구글 서치콘솔은 이런 경우 에러처리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처음부터 없는 페이지라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색인이 된 URL에서 404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삭제를 한 것인지 단순히 URL 주소가 변경이 된 것인지 처리를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찾을 수 없음 404 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 색인 생성 문제 홈페이지가 폭파되고 구글 서치콘솔에서 이런저런 메세지가 날아오기 시작했다. 도메인과 광고표시가 한두개 정도는 매일 나와줘야 그나마 제재를 덜 받기 때문에 급하게 페이지를 대충 나오게 했다. 백업 소스가 없는 상태에서 급하게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올렸기에 404 오류 코드를 처리해야 했다. 404 오류는 페이지가 없다는 의.. 2022. 11. 14.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19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