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캣 서버를 시작하고 종료하는 명령하는 각각 startup.sh 와 shutdown.sh 명령어를 사용한다. 자바나 jsp 를 이용하여 웹호스팅을 사용한다면 가끔은 리눅스로 직접 터미널로 연결하여 톰캣서버의 상태도 확인하고 로그도 확인해 주는 것이 좋다. 카페24 웹호스팅의 경우 리눅스 터미널에 접근하여 톰캣 서버의 상태를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으며, 자신이 사용하는 웹호스팅의 톰캣의 상태와 로그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톰캣 서버 시작과 종료
카페24 웹호스팅 서버를 가동하자
자바 스프링을 공부하고 게시판 정도 만들어 보는 것도 좋다. 게시판을 하나 만들 줄 안다면 왠만한 CRUD 는 만들 수 있다는 것.
그렇게 만들다 보면 내가 직접 무엇인가를 만들고 웹서비스를 하고 싶어질 수 있다.
본인의 경우 카페24를 통해 웹서비스를 하고 있기도 하지만 얼마전 코드 오류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덕분에 다시 만들고 있으면서 카페24 웹호스팅 터미널에 직접 접속하여 톰캣을 중지 시키고 시작하고 있다.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기도 하다.
카페24의 관리자메뉴에서 톰캣 서버를 중지하고 시작할 수도 있지만 리눅스를 다시 공부하고 시스템을 이해하고자 하는 의미로 직접 터미널에 접속하고 있다.
putty 카페24 터미널 접속하기
putty 프로그램은 터미널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카페24에서 권장하고 있으며 자바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하고 있다면 한번쯤은 사용하게 될 것이다.
단순히 톰캣 서버를 중지하고 시작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로그를 확인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조금은 불편하기도 하지만 알아두고 있어야 운영에 도움이 된다.
톰캣 서버 명령어 시작과 중지
톰캣 서버를 중지하고 시작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각각 shutdown.h 와 startup.sh 이다.
이 명령어들을 이용해서 톰캣 서버를 직접 중지하고 시작할 수 있다.
jsp 자바용 카페24 웹호스팅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putty 를 이용해 웹호스팅에 터미널로 접속하면 계정의 root 로 커맨드가 나타난다.
톰캣 서버가 설치된 곳의 폴더를 지정하고 명령어를 직접 작성하면 된다.
-- 톰캣서버 중지
[카페24아이디@alias ~]$ ./tomcat/bin/shutdown.sh
-- 톰캣서버 시작
[카페24아이디@alias ~]$ ./tomcat/bin/startup.sh
실행하고 확인하기
굳이 이것을 하는 이유가 있다면 카페24의 관리자 메뉴에서 톰캣 서버의 중지 명령을 내렸어도 완전하게 중지되지 않는 경우들이 가끔 발생하는데 중복으로 실행되는 경우 골치아픈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관리자 메뉴의 톰캣 서버 시작과 중지가 실행이 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이것보다 중요한 것은 톰캣 서버에 쌓여있는 로그의 내용을 보기 위함도 있다.
톰캣 서버를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한 모습을 캡쳐하였다.
가려진 부분은 민감한 부분이다.
중요한 부분은 노란색 박스부분이다.
톰캣 서버를 중지한 후와 실행한 후 메세지까지 확인하고 반영한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
- 톰캣 서버 실행 / 결과 메세지
startup.sh / Tomcat started. - 톰캣 서버 중지 / 결과 메세지
shutdown.sh / Tomcat stopped.
실행 후 결과 메세지는 반드시 확인해 보는 것을 권장하고 제대로 실행이 되지 않았다면 로그를 확인하고 코드를 수정하면 된다.
'programming > TroubleShoo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만드는 반응형 html5 문서 템플릿 (0) | 2022.11.16 |
---|---|
톰캣 로그 확인하기 카페24 웹호스팅 putty 확인 (0) | 2022.11.15 |
찾을 수 없음 404 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 색인 생성 문제 (0) | 2022.11.14 |
애드센스 광고 게재비율 노출수 정상인가 비정상인가 (0) | 2022.11.13 |
카페24 웹호스팅 putty 접속하기 (0) | 2022.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