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66

구글 AI 바드 사용 신청하기 대기자 등록 하기 구글에서 AI 바드를 오픈했다. 아직 베타서비스로 체험판의 성격이 강하다. 구글 AI 바드를 사용하기 위해 대기자 등록을 해야 하며, 신청 후 몇 분 이내로 사용 승인 메일을 받아 볼 수 있다. 대기자 등록을 위해 구글에 로그인할 수 있는 이메일 계정이 필요하다. 구글 AI 바드 사용 신청하기 대기자 명단 등록 하자 챗GPT ( ChatGPT ) 에 이어 구글에서 AI 바드 ( Bard ) 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였다. 챗GPT 와 빙챗 ( BingChat ) 까지 사용하고 있다가 바드까지 사용하고자 하니 이건 또 신세계다. 단지, 한글을 인식못하는 것인지 일부 언어만 이해한다는 답변을 받으니 조금 어색하긴 하다. 우리에겐 포털에서 제공하는 번역기가 있으니 문제될 것은 없다. 다만, 조금 귀찮고 불편.. 2023. 4. 23.
타이머와 스레드의 차이 시간과 작업 처리 방식이 다르다. 타이머 ( Timer ) 와 스레드 ( Thread ) 는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둘 다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 완전히 다르다. 타이머는 지정된 시간만큼 반복적으로 이벤트를 동작시키는 방식이라면, 스레드는 완전히 독립된 작업 프로세스 기반으로 동작시키는 방식이다. 둘 다 병렬처리가 가능하지만, 제공되는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그것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타이머와 스레드의 차이 시간과 작업 처리 방식이 다르다 프로그램을 만들 때 간혹 선택장애가 오는 경우들이 있다. 타이머와 스레드를 선택할 때이다. 이건 또 무슨 말이냐. 둘 다 비동기적으로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과는 별개로 동작은 하는데 편한거 사용하면 되지 굳이 선택장애가 올 필요가 있을까. 이래서 어설프게 알면 .. 2023. 4. 22.
ai 인공지능 아숙업으로 그림 그리기 방법 ai 인공지능으로 그림 그리는 방법 중 아숙업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아숙업에서 제공하는 업스케치 서비스를 신청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신청 후 안내에 따라 명령어를 입력하면 바로 이미지를 생성해 준다. 단어가 명확하고 정확할수록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사람이나 기계나 질문은 정말 중요한 것 같다. ai 인공지능 아숙업으로 그림 그리기 방법 인공지능이 대세다.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고 작곡도 하고 할 수 있는 것은 다 한다. 창의적인 측면에서 여전히 정확하고 명확한 질문과 요청이 있어야 마음에 드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인공지능 서비스도 경쟁이 치열하다. 유료와 무료 서비스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인같은 무료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너무도 좋은 현상이다. 그 중에.. 2023. 4. 22.
일본 80대 개발자 할머니 마짱 와타미야 마사코 일본에는 80대 개발자 할머니가 계시다. 와타미야 마사코란 이름의 노령의 할머니시다. 본인을 마짱이라 불러달라고 하는 그녀는 60대에 컴퓨터에 입문에 통신을 접하고 엑셀과 오피스를 익혔다. 그리고 80대에 앱을 만들어 출시했다. 이 자체를 보면 대단하고 놀라운 것이지만 의외의 단순함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일본 80대 개발자 할머니 마짱 와타미야 마사코 IT 에 종사하고 싶고 앱을 만들고 싶은 생각은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분야도 아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보편적인 룰을 깨고 혼자 공부하고 앱을 개발하고 게임까지 출시한 고령의 할머니가 계시다. 스스로를 마짱이라 불러달라는 이 할머니는 본업 은퇴 후 컴퓨터에 입문하고 앱까지 개발했다. 지금은 콘텐츠크리에이터라는 직함을 가지고 여기.. 2023.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