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ming/Python170 파이썬 멤버 연산자 찾는 내용이 있는 검사 Membership Operator 파이썬 멤버 연산자는 리스트나 문자열 같은 것에 내가 찾고자 하는 특정 값이 있는지 판단한다. 결과값은 참, 거짓으로 어떤 객체가 있는지를 찾게 된다. in 또는 not in 연산자를 사용하며 찾고자 하는 문자열은 뒤에 작성한다. 찾고자 하는 값이 있다면 참, 없다면 거짓이며, 결과를 반대로 나타내고자 한다면 not 을 붙여 사용한다. 멤버연산자 membership Operator 문자열객체 또는 어떤 객체 리스트에서 특정 값 또는 객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멤버연산자는 in 또는 not in을 사용하며 값인 있다면 참을 반환하고, 없다면 거짓을 반환한다. 물론, 다른 언어들에는 비슷한 기능은 있다. 찾을 객체 in 검사할 객체 객체가 있다면 참, 없다면 거짓 찾을 객체 not in 검사할 객체 .. 2021. 8. 6. 파이썬 id 연산자 is not 동일한 메모리 위치를 가진 객체 비교 파이썬의 id 연산자는 조금 특이한데 값이 같은지 여부가 아닌 동일한 메모리 위치를 가진 객체인지를 비교하고 판단한다. 단지 객체의 값이 같은지 여부는 비교 연산자를 사용해도 되지만 동일한 메모리 위치까지 비교하는 민감한 경우에 사용한다. id 연산자 is, is not 동일한 메모리 위치에 있는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is 또는 is not 연산자를 사용한다. is 는 동일한 메모리 위치에 있는 객체라면 참을 반환하고 is not 은 반대의 값을 반환한다. 코드샘플 id 연산자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연산자를 사용했을 때의 결과는 다르다. 단순히 값이 같음을 비교하는 비교연산자는 참을 반환하겠지만, 동일한 메모리 위치의 객체인지 여부까지 판단한다면 거짓을 반환한다. vVal_1 = ["파이썬", ".. 2021. 8. 4. 파이썬 논리 연산자 그리고 또는 아니다 AND OR NOT 논리연산자는 2개 이상의 비교연산자와 같이 사용하여 2가지 이상의 조건이 맞는지 틀린지를 검사한다. 결과값은 참과 거짓이다. 비교연산자와 같이 사용하여 많은 논리적 판단을 하는데 사용되기에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소숫점이 들어간 부분에서 주의하고 문자열의 경우에도 실수가 많은 부분이기도 하다. 생각해 보면 별 것 아닌 것인데도 말이다.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는 2가지 이상의 비교연산자와 같이 사용되기도 하고 독자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 다르다. 보통 3가지이며 and or not 이다. and : 그리고 A > B and C = B : A가 B보다 크고 C가 B와 같으면 참 or : 또는 A > B or C =B : A가 B보다 크거나 또는 C가 B와 같으면 참 not : 아니다. no.. 2021. 8. 3. 파이썬 비교 연산자 두 수를 비교하여 참 거짓을 표현한다. 수를 비교할 때는 비교 연산자를 사용한다.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수를 직접 비교할 수도 있다. 값이 크고 작고 같음을 비교하여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때 비교 연산자를 사용한다. 일부 비교 연산자는 헷갈릴 수 있기도 한데 문제될 것은 없다. 비교 연산자 파이썬 비교 연산자는 6가지가 있다. 크다, 작다, 같지 않다 등을 표현하고 조건에 맞으면 참(true)를 결과로 반환하고 조건이 틀리면 거짓(false)를 결과로 반환한다. A == B , A와 B는 같으면 참 A != B , A와 B는 다르면 참 A > B , A는 B보다 크면 참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또는 같으면 참 A vTrg) print(' vSrc > vTrg is ', vRst, type.. 2021. 8. 2.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