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rogramming/Python170

파이썬 변수 할당 연산자 변수에 값을 넣는 다양한 방법 파이썬 변수에 값을 넣는 방법은 쉽다. 변수를 만들고 값을 넣어주면 된다. = 키워드를 사용하여 값이 할당된다. 산술연산자와 사용되면 이건 또 다른 얘기가 된다. 중복되는 값을 문법의 편의성에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할당연산자 = 파이썬에서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은 =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래의 코드는 = 키워드를 사용하여 값을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보여준다. vInt = 10 vStr = '파이썬' 수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키워드를 사용하여 수식의 값을 변수에 넣어주면 된다. vVar_1 = 10 vVar_2 = 20 vResult = vVar_1 + vVar_2 데이터 타입은 할당되는 값에 따라 바뀌며 개발자는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2021. 8. 2.
파이썬 산술연산자 7가지 사용 방법 프로그래밍언어는 최초 계산기에서 시작하고 파이썬이란 고급언어까지 발전했다. 사칙연산 등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서 기본이고 파이썬에서도 가능하다. 산술연산자는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가 있지만 그 외에도 나머지 거듭제곱 등의 다른 계산도 할 수 있다. 산술연산자 계산기와 같이 수치를 계산하기 위한 키워드들이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거듭제곱 버림나눗셈이 있다.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코드로 직접 보는 것이 더 편하다. 두 수 A와 B가 있을 때 산술연산자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더하기 : A + B : A와 B를 더한 값 빼기 : A - B : A에서 B를 뺀 값 곱하기 : A * B : A와 B를 곱한 값 나누기 : A / B : A에서 B를 나눈 값 나머지 : A % B : A에서 B를 나눈 .. 2021. 7. 31.
파이썬 불리언 조건문과 같이 사용하기 파이썬의 불리언은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 이런 판단은 조건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조건문은 if 키워드를 사용한다. 이런 조건문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특정한 어떤 조건을 함께 만들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공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불리언 bool 파이썬에서 데이터 타입 bool 은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 사용용도는 방대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르다. 결과는 True 또는 False 를 반환한다. 단지 이 결과로도 많은 연산을 할 수 있다. ▶ 파이썬 불리언 bool 함수로 참 거짓을 판단하기 조건문 조건문은 if 키워드를 사용하고 특정조건에 대한 연산을 실행한다. if 조건: 참일 때 동작 else: 거짓일 때 동작 이런 단순한 연산만으로도 많은 것을 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2021. 7. 31.
파이썬 불리언 bool 함수로 참 거짓을 판단하기 파이썬에는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bool() 함수를 사용하면 참과 거짓을 판단하기 쉽다. 조건문을 사용하면 굳이 bool() 함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복잡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하게 될 때는 bool()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참 거짓 판단 bool() 단순히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 반환값은 true 또는 false 이다. 파이썬이 어떤 식이나 값을 판단할 때 사용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코드는 비교연산자를 사용해 여러가지 상황을 살펴 본 것이다. vBool = bool( 1 > 5 ) print('bool( 1 > 5 ) - ', vBool, type(vBool) ) vBool = bool( 1 < 5 ) print('bool( 1 < 5.. 2021. 7.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