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ming/Python170 파이썬 문자열 자르기하고 추출하기 slicing 슬라이싱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자르거나 특정부분의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이 작업을 슬라이싱이라고 하며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엑셀의 그것과 비슷하기에 사용에 익숙하다. 오히려 익숙함 때문에 헷갈릴 수도 있다. 인덱스를 이용해 문자열을 자르고 추출하는 방법을 슬라이싱 이라고도 한다. ] 파이썬 슬라이싱 파이썬에서 슬라이싱은 문자열을 자르는 것보다도 문자열에서 특정 범위를 지정해 문자열 추출을 하는 것에 가깝다. 문자열을 추출하는 것이나 자르는 것이나 범위를 지정하는 것은 어떤 언어를 사용하든 비슷비슷하다. 단지 함수명이나 메서드명이 다를 수 있다. 파이썬 문자열 자르기와 추출은 문자열[시작범위:끝범위] 형식으로 작성한다. 문자열의 시작은 인덱스 0 부터 시작한다. 시작범위에 값이 없다면 문자열의 .. 2021. 7. 29. 파이썬 문자열 길이와 찾기 파이썬의 문자열도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의 기능이 있다. 문자열의 길이를 찾고 특정 문자열이 있는지 찾을 수 있다. 이 기능은 다른 언어에도 있는 기능이다. 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이 기능만을 가지고도 고급기능으로 발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파이썬 문자열 길이 찾기 파이썬에서 문자열의 길이는 len() 함수를 사용한다. len() 함수를 사용하면 문자열 변수에 할당된 문자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 문자열은 문자 하나하나의 배열이라고 언급했었다. ▶ 파이썬 문자열 배열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 코드를 보자 어렵지 않다 문자열 변수인 vStr에 임의의 문자열 값을 할당하고 , 문자열 길이 함수인 len() 함수를 이용해 vLen 변수에 할당다. vStr = '파이썬을 공부해 두면 여러가.. 2021. 7. 29. 파이썬 문자열 배열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 파이썬도 그렇고 다른 언어들도 그렇듯 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이며 배열이다. 그렇기에 문자열의 길이는 곧 문자 하나하나의 갯수이기도 하다. 문자열은 곧 배열이기 때문에 반복문, 순환문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에 문자열 함수를 살펴봐도 배열이나 반복 인덱스와 관련한 것들이 많다. 문자열의 정의 문자열이 배열이라는 것은 가끔 잊어먹을 때가 있을 수 있다. 중요하지 않지만, 때론 이 간단한 사실 때문에 헤맬 때도 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이 배열이란 것을 나타내는 아래의 함수를 보면 알 수 있다. vStr = '파이썬' print("변수 vStr - ", len(vStr), type(len(vStr))) print("변수 vStr - ", vStr[1], type(vStr[1])) 코드를 보면 배열을 사용하기.. 2021. 7. 28. 파이썬 변수에 여러 줄 문자열 사용하기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사용하는 것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비슷하다. 다른 언어를 이미 사용해 본 적이 있다면 어려운 것이 없을 것이다. 다만 여러 줄에 관련해서 문법적으로 조금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것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그냥 작성하고 출력하면 그만이다. 문자열 변수 사용 파이썬의 문자열 변수를 사용하는 건 이미 여러차례 해 보았다. 변수를 만들고 문자열을 할당하면 그만이다. 그리고,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print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 vStr = '파이썬 입니다. 열심히 공부해 봅니다.' print("변수 vStr - ", vStr, type(vStr)) 결과화면을 보면 지금까지 계속 이런방식인 것을 알 수 있다. 문자열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문자열 변수에 여러 줄 사용 조금 이상하지.. 2021. 7. 28.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