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

홈페이지 사이트맵이란 홈페이지를 여행하는 검색로봇을 위한 안내서

by 개코 - 개발과 코딩 2022. 4. 11.

홈페이지의 사이트맵은 검색로봇을 위한 안내서와 같다. 사이트맵에 등록된 페이지 목록 주소를 기준으로 검색로봇은 홈페이지를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컨텐츠를 읽고 검색을 위한 작업을 한다. 사이트맵은 검색로봇이 탐색에 있어 시간을 줄이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지도와도 같다.

홈페이지 사이트맵이란
홈페이지를 여행하는 검색로봇을 위한 안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홈페이지나 블로그가 있다면 방문자 트래픽을 높이기 위해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작업을 한다.

검색엔진에 홈페이지 또는 블로그 등을 등록하면 검색엔진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들만의 로봇으로 웹사이트를 탐색하기 시작한다.

홈페이지 또는 블로그 등은 웹사이트와 같은 말이니 이하 홈페이지라 칭한다.

로봇들이 일일이 홈페이지의 컨텐츠 내용을 탐색하는 것은 시간이나 비용이 많이 든다.

그렇기에 사이트맵을 만들어 검색엔진에 등록하면 로봇은 사이트맵에 등록된 페이지들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검색로봇이 웹페이지를 탐색하는 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사이트맵 sitemap.xml

사이트맵은 검색 로봇을 위한 하나의 지도와도 같다.

검색엔진에 홈페이지의 사이트맵을 등록하면 검색로봇은 사이트맵을 기준으로 홈페이지를 탐색하기 시작한다.

검색로봇이 홈페이지에 존재하는 모든 컨텐츠 내용을 탐색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렇기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면 검색로봇이 홈페이지를 탐색하는 시간을 줄여준다.

사람이 어떤 목적지로 가기 위해 지도를 이용하는 것과 같다.

사이트맵의 파일구조는 xml 형식을 가지는데 보통 홈페이지 주소 뒤의 sitemap.xml 형식으로 볼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 티스토리의 경우 주소 뒤에 sitemap.xml 을 넣어 페이지목록을 볼 수 있다.

홈페이지주소는 사이트마다 다를 수 있다.

https://웹사이트주소/sitemap.xml

사이트맵 구조

홈페이지가 검색이 잘 될 수 있도록 사이트맵을 검색엔진에 등록할 수 있는데 그 전에 사이트맵의 구조를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만약 자동차를 이용해 어딘가의 여러 목적지로 이동을 하기 위해선 네비게이션에 여러 군데의 목적지를 미리 지정해 둔다.

사이트맵도 이런 의미로 이해하면 좋다.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검색로봇은 네비게이션과 같은 사이트맵을 기준으로 홈페이지를 탐색한다.

이런 사이트맵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urlset xmlns="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
   <url>
      <loc>웹사이트 페이지 주소 1</loc>
      <lastmod>마지막수정일</lastmod>
   </url>
   <url>
      <loc>웹사이트 페이지 주소 2</loc>
      <lastmod>마지막수정일</lastmod>
   </url>
   <url>
      <loc>웹사이트 페이지 주소 3</loc>
      <lastmod>마지막수정일</lastmod>
   </url>
   <url>
      <loc>웹사이트 페이지 주소 4</loc>
      <lastmod>마지막수정일</lastmod>
   </url>
</urlset>

위의 사이트맵 파일에서 알아 둘 것은 url 태그들에 있는 loc 와 lastmod 이다.

loc 에 등록된 홈페이지의 페이지 주소를 이용해 검색엔진이 탐색을 하게 된다.

  • url / 홈페이지 페이지 목록 정보
  • loc / 홈페이지 페이지 목록 주소
  • lastmod / 마지막 수정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