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

rss 피드란 뜻과 구조의 이해 rss 만들기 필수 내용

by 개코 - 개발과 코딩 2022. 4. 14.

rss 피드는 옛날부터 웹사이트의 소식을 받기 위해 존재한 것이다. xml의 구조로써 가독성이 좋고 규칙적이다. 목적이 있어 rss 피드를 직접 관리하고자 한다면 구조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좋다. rss 는 필수적인 요소가 3가지가 있는데 이것은 컨텐츠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 3가지는 title 제목, link url, description 내용이다. 이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rss 리더는 실시간으로 컨텐츠의 내용을 받아 사용자에 소식을 전해준다.

rss 피드란 뜻과 구조의 이해

rss는 옛날부터 존재했던 최신정보를 위한 소식지이다.

모든 검색엔진들과 seo를 중히 여기는 분들은 이런 rss를 활용하고 있다.

소식지로써 쓰임새와 검색을 위한 쓰임새로써 rss는 지금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rss 피드는 rss url 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 피드를 rss 리더에 등록하면 자신이 원하는 웹사이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다.

만약, 반대의 상황에서 웹사이트나 블로그 관리자라면 소식을 전달하고 싶을 것이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이 rss 피드일 것이다.

지금은 보통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것들이 많다. 일단 그 구조를 살펴본다.

rss 피드와 필수 내용

rss 피드에는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내용이 있고, 옵션으로 들어가는 것들이 있다.

옵션은 넣어도 그만 넣지 않아도 그만이지만 필수적인 내용들은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필수적인 것들은 3개 종류가 있고, 옵션은 그 가짓수가 더 많지만 여기서는 날짜 정보만 다룬다.

필수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title
    컨텐츠의 제목
  • link
    컨텐츠의 링크
  • description
    컨텐츠의 내용
  • pubDate
    컨텐츠의 신규 또는 업데이트 날짜

rss 피드의 구조

내용은 살펴보았으니 이제 rss의 실제구조를 살펴보자.

rss 피드의 구조를 보면 필수적인 내용들이 들어가고 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item 태그가 있고 없고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일단 코드를 보자.

<?xml version="1.0" encoding="UTF-8" ?>
<rss version="2.0">

<channel>
	<title>웹사이트 제목</title>
    <link>웹사이트 주소 URL</link>
    <description>웹사이트 설명</description>
    <item>
    	<title>컨텐츠 제목</title>
        <link>컨텐츠 주소 URL</link>
        <description>컨텐츠 내용</description>
    </item>
    <item>
    	<title>컨텐츠 제목</title>
        <link>컨텐츠 주소 URL</link>
        <description>컨텐츠 내용</description>
    </item>
    <item>
    	<title>컨텐츠 제목</title>
        <link>컨텐츠 주소 URL</link>
        <description>컨텐츠 내용</description>
    </item>
</channel>

</rss>

xml 형식을 가진 rss 피드의 정보는 규칙적인 내용을 가진다.

title, link, description 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들 3가지는 필수로 작성되어 진다.

컨텐츠의 제목과 URL 내용을 포함하여 소식을 알려준다.

다만 itme 태그 밑에 있는 것들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item 태그 밖에 위치한 것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알려준다.

item 태그 내에 위치한 것은 컨텐츠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컨텐츠는 item 태그를 이용하여 나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구조로써 rss 리더기를 이용하면 특정 웹사이트의 소식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