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는 사업을 위해 자금을 필요로 한다. 유상증자는 자금을 필요로 하는 회사가 돈을 받고 주주들에 회사의 지분을 파는 행위를 말한다. 무상증자와의 차이가 여기에 있다. 돈을 받느냐 안 받느냐의 차이. 그렇기에 유상증자라는 말에서 이미 그 회사는 자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상증자를 하는 목적에 따라 호재냐 악재냐 를 찾을 수도 있겠지만, 보통의 유상증자는 악재로 통한다.
유상증자란 뜻은 회사가 돈을 받고 주식을 나눠주는 것
회사는 이윤추구를 위해 존재하고 이윤추구를 위해 돈을 필요로 한다.
돈이 필요한 경우는 많지만 할 수 있는데 돈이 없다면 이것도 회사입장에서는 억울하다.
정말 돈이 없는 경우라면 얘기가 다르지만 말이다.
유상증자는 이 때 회사가 자금을 모으기 위해 시행하는 것 중 하나이다.
주식회사는 유상증자를 통해 주주들에 회사의 지분인 주식을 나눠준다.
단, 무상증자와는 다르게 돈을 받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사전적 의미
유상증자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자.
영어로는 capital increase by issuing new stocks
한자로는 有 (있을 유) 償 (갚을 상) 增 (더할 증) 資 (재물 자)
직역을 하지 못한다고 해도 대충 알 수 있다.
사전적 의미로써의 유상증자 뜻은 신주를 발행하여 새로운 자금을 조달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일을 말한다.
쉽게 말해
주주들에 지분을 팔아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목적
사업을 하려면 돈이 필요하다.
주식회사는 지분을 팔아 유상증자를 실시하여 자금을 모은다.
하지만, 회사의 이익이 많아서 실시하는 무상증자와는 다르게 유상증자는 지분을 판다.
지분을 판다는 것에 이미 자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연한 것이겠지만 단순히 돈이 없는 경우와 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악재의 조건 돈이 없는 경우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면 호재로 작용할 수도 있겠지만, 그럼에도 악재는 존재하고 있다.
채무상환을 해야 하는데 돈이 없거나, 운영자금인 임대료, 급여 등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라면 악재로 크게 작용한다.
잠재적인 기술력이 있다면 다르겠지만 말이다.
호재의 조건 돈이 필요한 경우
일이 너무 잘 풀리고 있는데 자금이 부족하여 제품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신기술을 익혀 제품화하여 시장에 내놓고 있는데 생산을 위한 자본이 부족할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라면 호재로써 작용할 수 있다.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 등이 이미 진행되는 상황에서 자금이 부족하면 회사로써는 억울한 측면이 있는 것이다.
보통 신규사업 등을 위한 투자확대나 설비증설, 기업인수 등이 있다.
잘 나가는 회사는 규모가 작더라도 욕심을 내기 때문.
주가에 미치는 영향
유상증자나 유상증자나 기업가치에는 변화가 없다.
단지, 발행되는 주식수에만 영향이 간다.
그렇기에 증자를 실시한 이후 주가는 떨어질 수 있다.
주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의 자리를 찾아 간다고 한다.
증자를 통해 주가가 떨어지더라도 자신의 원래 주가로 다시 찾아간다는 말과 같다.
주가 10만원인 주식이 증자로 인해 5만원으로 떨어지더라도 악재만 없다면 다시 10만원이 된다는 것이다.
무상증자의 경우는 보통 호재로써 작용하기에 기대감이 있을 수 있다.
유상증자의 경우 보통 악재로써 작용하기에 자신의 자리로 가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미 악재로 인한 유상증자라면 공시내용을 보지 않아도 차트에서 이미 하락하는 그래프로 볼 수 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지털 뜻과 사례 피지털이란 오프라인 공간에서 온라인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것 (0) | 2021.11.22 |
---|---|
nft 란 ntf 뜻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가상 자산 (0) | 2021.11.15 |
유상증자 무상증자 차이와 뜻 권리락 이후 주가의 악재와 호재 (0) | 2021.11.14 |
권리락 뜻과 주가 영향 권리락이란 증자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사라진 것 (0) | 2021.11.13 |
무상증자란 뜻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 공짜로 주식을 주네 (0) | 2021.11.12 |
댓글